[2025년 10월 5주] 중앙 ㅣ 조회수 300만 회 증가한 530만 회, 이거 실화야? 이유 살펴보니..?

10월 5주 기간 동안 중앙행정기관 유튜브에서 게재한 영상은 총 몇 건일까요? 각 기관별 주 평균 몇 건의 영상을 게재하고 있으며, 이들 영상은 기관의 홍보 방향에 얼마나 도움이 되고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종합 분석
  • 2025년 10월 5주 중앙행정기관 유튜브 채널에 게재된 영상 분석 결과, 한 주간 게재된 영상 수는 총 257건으로 지난 주 대비 38건 소폭 상승했습니다. 영상 형태별로 보면 일반영상 보다 쇼츠영상에서 전체 영상 수 증가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쇼츠영상이 더 크게 증가했다는 의미)
  • 영상 수는 소폭 증가했지만, 조회수는 지난 주 대비 320만 회 이상 증가한 530만 회라는 놀라운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주의 조회수도 낮지 않은 성과임을 감안하면 10월 5주의 조회수 성과는 매우 놀랍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상세히 살펴보면 일반영상 보다 쇼츠영상에서 조회수가 매우 가파르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조회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부서는 중소벤처기업부로, '코리아 그랜드 페스타'를 주관하는 부서로서 관련 정보를 확산하기 위해 상당한 광고를 집행했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캄보디아 이슈를 다룬 경찰청 영상도 매우 높은 조회수를 기록해 전체 조회수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무튼, 5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는 매우 이례적인 성과이며, 최근 들어 국가적 행사가 많은 탓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에서인지 몰라도, 이렇게 눈에 띄게 높은 조회수 성과를 기록하는 기간이 크게 증가했다는 것도 눈여겨볼만 합니다.
  • 조회수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과는 달리 좋아요와 댓글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증가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광고 집행으로 조회를 이끌어 냈으나, 해당 영상이 이용자들의 관심을 더욱 이끌어 내기에는 부족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더불어 일반영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 쇼츠영상에서 좋아요와 댓글 수치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체영상 중에서 중소벤처기업부가 19건으로 가장 많은 영상 수를 기록했습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코리아 그랜드 페스타 진행에 따라, 다수의 홍보영상을 게재한 영향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영상 중 쇼츠영상은 14건을 차지했습니다. 뒤를 이어 법제처 14건, 기후에너지환경부, 국토교통부가 11건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법제처가 14건이라는 영상 수를 게재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다양한 정보를 담은 쇼츠영상을 게재한 것이 특징입니다.
  • 일반영상 중에서는 금융위원회와 국토교통부가 9건으로 가장 많은 영상을 게재했습니다. 다만 이 두 기관이 게재한 영상의 구성은 조금 다릅니다. 금융위원회는 단순 정보 전달 목적의 영상이 대부분인 것과는 달리 국토교통부의 영상은 정보 전달과 함께 소통의 목적까지 담은 기획영상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 쇼츠영상 중에서는 중소벤처기업부가 1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뒤를 이어 법체처가 12건의 영상을 차지했습니다.

상세 분석

<조회수>

  • 10월 5주 가장 많은 조회수의 영상은 법무부에서 캄보디아 사태를 소재로 제작한 <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 여행이 아닌 위험이 될 수 있습니다 | 법tv #법무부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취업사기 #납치 #감금 #해외안전>으로, 수집일 기준 64만 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만, 범죄를 다루는 법무부인 만큼 범죄와 관련된 현지의 상황과 대책 등에 대한 생생한 정보를 함께 담았으면 좋았겠지만, 단지 위험지역으로 해외여행을 갈 경우 신고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만 담고 있어 아쉬움이 남습니다. 그로 인해 조회수는 매우 높았지만, 그에 비해 좋아요와 댓글 수는 많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더불어 10월 5주에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타 관련 정보를 담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영상과 국내외 경제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기획재정부 영상이 상위에 다수 포진했습니다.

<좋아요 수>

  • 10월 5주 가장 많은 좋아요 수를 기록한 영상은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경제반등의 신호탄 GDP 속보치>으로 수집일 기준 약 2천 개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좋아요 수 2위의 영상도 기획재정보 영상으로, 우리나라의 경기가 좋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정보 전달 목적의 쇼츠영상입니다. 조회수와 좋아요 수는 매우 높게 나타났지만, 댓글 수는 턱없이 적은 수를 기록해 아쉬움이 남습니다. 더불어 1000개 이상의 좋아요 수를 기록한 영상이 5건이나 되어, 다른 분석 기간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습니다.

<댓글 수>

  • 10월 5주 댓글 수 상위 10개 영상을 분석해보면 모두 이벤트를 연계한 성과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상의 확산과 참여를 위해 이벤트 진행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지만, 자발적인 참여로 상위 수준의 댓글 수를 달성할 수 없다는 현실을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