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5주] 콘텐츠러리ㅣ레트로에 위안 받는 시청자들 / Z세대 점령한 밈 콘텐츠
에디터는 매일 '콘텐츠' 키워드로 모은 뉴스를 페이스북과 링크드인을 통해 공유합니다. 친구라면 매일 확인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분들을 위해 한 주간 공유한 뉴스와 에디터의 아주 사적인 의견을 덧붙여 공유합니다.
"이젠 웹툰도 길다고 느껴요"…요즘 초딩들 즐겨본다는 '이것'
″이젠 웹툰도 길다고 느껴요”…요즘 초딩들 즐겨본다는 ‘이것’ [인터뷰]
″이젠 웹툰도 길다고 느껴요”…요즘 초딩들 즐겨본다는 ‘이것’ [인터뷰], 1020 쉬는 시간 꿰찬 ‘숏애니’ 김현우 네이버웹툰 컷츠 콘텐츠 리드 인터뷰
웹툰도 이제는 길다, 감상 시간 2~5분짜리 웹툰은 이제 1020세대에겐 '긴 콘텐츠'다. 네이버웹툰은 '숏애니' 시대가 올거라 이야기 한다.
삼성화재, AI 활용 숏폼 콘텐츠로 MZ세대 공략 성공
삼성화재, AI 활용 숏폼 콘텐츠로 MZ세대 공략 성공 - 퍼블릭뉴스통신(Public news-network for TTL)
삼성화재가 유튜브 숏폼 플랫폼 ‘쇼츠’를 활용한 광고 캠페인으로 MZ 세대 공략에 나섰다.31일 삼성화재는 총 15편의 숏폼 콘텐츠가 3개월 만에 누적 조회수 3
삼성생명....은 나름 금융을 다루는 기업인데, AI를 활용한 영상이 얼마나 도움이 될지 잘 모르겠다. 조사에 따르면 AI로 만든 영상임을 인지한 경우 신뢰도가 낮아진다고, 특히나 젊은 세대가 더 심하게 신뢰도가 하락한다는데, 그걸 아는 건지, 아니면 야나두가 성공을 하니 그대로 따라하려는 건지 그걸 참 모르겠다.
'불확실 시대' 레트로 콘텐츠에 위안 얻는 시청자들
‘불확실 시대’ 레트로 콘텐츠에 위안 얻는 시청자들
[PD저널 =방연주 대중문화평론가] 유튜브 알고리즘을 타면 8090 콘텐츠를 심심찮게 접할 수 있다. 1980~1990년대 그 시절 도시의 풍경이나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영상들이다. 1990년대 시민들의 길거리 인터뷰 영상을 편집한 숏폼 콘텐츠에 달린 ‘요즘 사람’들의 반응은 흥미롭다
'레트로'는 이제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유튜브 뿐만 아니라 TV, OTT 등의 플랫폼에서도 레트로 콘텐츠가 넘쳐나고, 이에 대한 반응도 매우 뜨겁다. 이는 점차 복잡해지는 세상에 대한 반작용이다. 그 안에서 '선명한 나'를 발견해내기 위해 노력한다.
SNS 피드 점령한 Z세대 유행 콘텐츠
SNS 피드 점령한 Z세대 유행 콘텐츠
‘메가트렌드’라는 단어가 없어진 요즘, 유행을 따라가기가 힘들어졌다. 개인 관심사에 따라 취향도 세분화되고 있다. 요즘 뭐가 유행이냐고 묻는다면 선뜻 대답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
요즘에는 어떤 '밈'이 뜨고 있는가?
세 가지 트렌드를 소개하고 있는데, 일단 보면 왜 떴는지를 알 수 없고, 어떻게 확산됐는지도 알 수가 없다. 정말 모를 세상이다.
교육청 홍보영상에 '짧은 치마 입고 골반춤'? 전교조, 혐오적 콘텐츠 비판
바로 앞서 최근 밈을 소개하는 주간동아의 기사 중 사례로 소개된 밈이기도 한데, 이런 기사들이 끊임없이 나오는 걸 보면, 담당자의 욕망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한다는 걸 의미할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