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4주] 지자체 ㅣ 전체 수치 줄었지만 쇼츠의 좋아요와 댓글은 증가, 그 이유는?

숲 via 장재섭
숲 via 장재섭

최근에는 지자체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에 게재된 영상에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됩니다. 지방 시대를 맞아 지방자치단체 중 광역자치단체의 유튜브을 모니터링 합니다. 지자체에서 제작하는 영상이 중앙행정기관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2025년 8월 4주 지방자치단체 유튜브 채널에 게재된 영상 분석 결과, 한 주간 게재된 영상 수는 총 113건으로 지난 주 대비 16건 증가했습니다. 더불어 조회수, 좋아요, 댓글 모두 증가했습니다. 특히 쇼츠영상의 조회수가 매우 크게 증가한 것이 인상적인데, 영상 수가 그 정도로 증가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면, 쇼츠영상 중 대중의 관심을 받는 소재가 활용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수치 상으로는) 이와는 달리 일반영상의 경우 영상수와 조회수는 증가했지만, 좋아요와 댓글은 오히려 감소했습니다.
    *다만, 쇼츠영상에 광고를 다수 집행했을 가능성도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 전체 영상 중에서는 서울시가 무려 30건의 영상을 한 주간 게재하여 가장 많은 영상 수를 기록했습니다. 이 중 일반영상 15건, 쇼츠영상 15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영상 15건은 중앙부처 유튜브에서도 쉽지 않은 것으로, 서울시가 유튜브에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뒤를 이어 경기도, 울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가 10건 이상의 영상을 게재했습니다.
  • 일반영상은 서울시가 가장 많이 게재했으며, 뒤를 이어 경기도 > 울산광역시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쇼츠영상에서도 서울시가 15건을 게재하여 가장 많은 영상수를 기록했습니다. 그 외의 기관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조회수
  • 조회수의 경우 서울시가 버추얼 인플루언서 그룹 '플레이브'와 협업해 제작한 마약 캠페인 영상이 조회수 16만 회 이상으로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플레이브에 대한 관심과 함께 광고 집행이 조회수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영상은 좋아요 수에서도 1위를 차지했으며, 댓글 수에서는 2위를 기록했습니다.

좋아요
댓글
  • 조회수, 좋아요 수, 댓글 수 전체적으로 서울시가 강세를 보이는 모습이고 있습니다. 조회수와 댓글 수의 경우에는 상위 5개 중 3건이, 좋아요는 무려 4건이 서울시 영상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수 영상을 게재한 영향도 있겠지만, 8월 4주에 게재한 영상에 대해 서울시가 광고 등을 집중한 영향도 적지 않아 보입니다. 더불어 서울시에서는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넷플릭스의 케이팝데몬헌터스(케더헌) 소재를 적극 활용했다는 점도 영상의 수치 성과를 높이는데 작용을 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