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주] 콘텐츠러리 ㅣ 제주시 영상 흥행몰이? / AI 때문에 크몽 구조조정?

숲 via 장재섭
숲 via 장재섭

한 주 동안 '콘텐츠' 키워드로 모은 뉴스를 에디터의 아주 사적인 의견을 덧붙여 공유합니다.


제주시청 유튜브채널 '햄실텐데', 이번엔 새활용센터서 '흥행몰이'
제주시청 유튜브채널 ‘햄실텐데‘, 이번엔 새활용센터서 ‘흥행몰이’
MZ세대 공무원들의 열연으로 인기몰이를 이어가고 있는 제주시청 공식 유튜브 채널의 영상 콘텐츠가 ‘새활용센터 리얼탐방‘에서도 폭발적 반응을 끌어냈다.제주시청 공보실 소속의 김소은 주무관이 기획을 맡은 ‘햄실텐데’ 16화는 제주시 새활용센터에서 제작됐다. 관련 부서인 기후환경과 이슬 주무관이 함께 진행을 이어나간 가운데, 도입 부분에서는 강유미 공보실장도 출연해 재미있는 연기를 펼쳤다. 새활용센터 리얼탐방은 버려질 뻔했던 물건들이 새롭게 재탄생하는 과정들을 보여주며 업사이클링의 중요성을 재미있게 풀어냈다. ”버려질 뻔했던 물건들, 제

공공기관이 유튜브 활용한 홍보는 '공무원이 직접 등장해 의외의 모습을 보여주는 행태'로 굳어지는 것 같다. 콘텐츠가 넘처나는 시대, 아무리 좋은  콘텐츠라도 빠르게 소비되는 상황에서, 어차피 정보를 전달할 거면 이용자들의 입맛에 맞춰 눈에 띄는 게 가장 최선의 목적인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유튜브에 게재한 영상의 조회수를 자랑하는 2건의 기사.
CJ제일제당 백설 1분링 육수커플 영상, 1억뷰 돌파… “쌍방향 소통 통했다”
매일일보 = 이선민 기자 | CJ제일제당의 편의형 코인육수 제품인 백설 육수에는 1분링의 마케팅 콘텐츠가 뜨거운 반응을 이어가고 있다.CJ제일제당은 백설 육수에는 1분링을 소재로 한 육수커플 영상이 업로드한 지 3개월 만에 다수 SNS 채널에서 합계 조회수 1억뷰를 돌파하며 큰 관심을 얻고 있다고 10일 밝혔다.지난 6월 공개된 영상은 1분 분량의 결혼생활 에피소드 5편으로 제작됐으며, 배우 변요한과 차주영이 부부로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결혼생활에서 흔히 있을 수 있는 일들을 제품과 함께 유쾌하게 풀어낸 영상들은 인터넷 커뮤니티,
결혼정보회사 듀오, 슈카월드와 함께한 협업 영상 47만 회 기록
결혼정보회사 듀오, 슈카월드와 함께한 협업 영상 47만 회 기록 [HBN뉴스 = 정동환 기자]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유튜브 경제·금융 전문 채널 ‘슈카월드’와 협업해 선보인 브랜드 콘텐츠 영상이 공개 닷새 만에 조회수 47만 회를 기록하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이번 영상은 ′결혼정보회사′를 주제로 결혼정보회사의 호황 온라인 데이팅의 한계 혼인율 증가 요인 등을 다뤘으며, 특히 업계 선두주자인 듀오의 성공 배경과 성과에 대

CJ제일제당이 1분링을 소재로 한 광고 영상이 1억 뷰를 넘었다는 기사와 듀오가 슈카월드와 협업한 영상이 47만 회를 기록했다는 기사.

1억 뷰라는 수치는 모니터링을 하면서도 쉽게 달성하기 어려운 수치가 맞다. (예전 feel the rhythm of Korea 정도일까나) 물론 여러 SNS 채널을 수치를 합산한 거고, 상세 수치는 확인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1억 회의 조회수는 충분히 자랑할만한 수치임이 분명하다. 관심이 없으면 광고를 해도 이 정도의 조회수를 달성하기 힘들다.
듀오가 슈카월드와 협업한 영상이 게재 후 5일만헤 47만 회의 조회수를 달성했다고 한다. 기업은 물론 공공기관에서 이 정도의 셀럽과 협업을 한다고 해도 광고 없이는 1만 회 조회수를 달성하기 매우 어렵다. 이는 광고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거다.

조회수가 힘이 된다. 조회수는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과정의 결과다. 결과를 인정받는 정량적인 기준이 된다.


크몽, AI발 구조적 시장위축…극복 가능할까
크몽, AI발 구조적 시장위축…극복 가능할까 - 더스탁(The Stock)
테슬라트랙 IPO(기업공개)를 택한 크몽이 투심을 확보하기위해 전제해야 하는 건 ‘성장’이다. 테슬라트랙은 당장은 적자지만 성장성이 농후한 기업 상장 문턱을 낮춰

크몽이 AI로 인해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 AI 덕분에 많은 직업이 줄어들고 있다는 건 많이 알고 있는 사실. 물론 AI 덕분에 생기는 직업도 있다고 하지만, 해당 직업은 저임금, 저가가 분야가 많다는 이야기도 있다. 크몽에서도 마찬가지. 영상만 놓고 보도라도 AI를 활용한 영상 제작은 많이 확인할 수 있지만, 단가는 그리 높지 않다. 더불어 블로그 글쓰기, 간단한 디자인 하기 등은 타격이 더 크지 싶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