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4주] 종합 ㅣ 전체 조회수 급감, 하지만 쇼츠영상 성과는 오히려 좋아졌다? 그 의미는?
9월 4주 기간 동안 중앙행정기관 유튜브에서 게재한 영상은 총 몇 건일까요? 각 기관별 주 평균 몇 건의 영상을 게재하고 있으며, 이들 영상은 기관의 홍보 방향에 얼마나 도움이 되고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2025년 9월 4주 중앙행정기관 유튜브 채널에 게재된 영상 분석 결과, 한 주간 게재된 영상 수는 총 246건으로 지난 주 대비 7건 증가했습니다. 일반영상은 1건, 쇼츠영상은 6건 증가했습니다.
- 영상수는 증가했지만 조회수는 크게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일반영상에서 크게 감소했는데, 이는 지난 주 인구주택총조사 홍보 영상을 게재했던 통계청의 영상이 거의 200만 회에 육박하는 조회수를 기록했고, 9월 4주는 이 영상의 감소분을 상쇄한 영상이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쇼츠영상의 경우에는 영상수의 증가 보다 훨신 높은 조회수 증가율을 보여주었습니다. 9월 4주에는 쇼츠영상에 관심이 집중했다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전체 좋아요 수는 증가했으나, 일반영상은 감소, 쇼츠영상은 증가의 결과를 보여주어, 역시나 쇼츠영상에 대한 이용자들의 관심이 몰렸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댓글은 전체적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일반영상에서는 오히려 증가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앞서 조회수와 좋아요 수를 분석하면서 쇼츠영상에 관심이 집중했다고 이야기했는데, 댓글에서는 일반영상이 강세를 보인것을 보면, 일반영상에 댓글을 유도하는 영상(이벤트 등)이 다수 게재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전체영상 수의 경우 금융위원회와 행정안전부가 한 주 동안 20건의 영상을 게재해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일반영상이 19건으로 다수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금융권 공동 취업박람회에서 취업 강의 영상을 다수 게재한 영향입니다. 행정안전부는 일반영상 9건, 쇼츠영상 11건으로, 민생회복 소비쿠폰 홍보 목적으로 김태균 씨와 협업한 영상을 다수 게재했습니다. 뒤를 이어 국가보훈부 등 4개 기관이 10건 이상의 영상을 게재했습니다.
- 일반영상은 금융위원회가 1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뒤를 이어 행정안전부가 11건을 게재했습니다. 쇼츠영상은 국가보훈부가 14건의 영상을 게재했습니다. 이중 대다수는 제복근무자 감사캠페인에 참여하는 셀럽의 영상이 다수를 차지했습니다.
덧. 잉크닷의 첫 게시물인 [종합]편의 썸네일 이미지는 한 주 동안 발생했단 사건 중 기억해야 할 사건의 사진을 배치합니다. 지난 주만 해도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실패'와 관련된 보도 사진을 배치하려고 했지만, 주말 동안 발생한 엄청난 사건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가 발생하여 어쩔 수 없이 해당 사진을 배치했습니다. 아쉬움이 남아 몇 자 남겨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