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주] 종합 ㅣ 조회수 1천 7백만 회...이거 실화? 원인이 뭐길래?
10월 1주 기간 동안 중앙행정기관 유튜브에서 게재한 영상은 총 몇 건일까요? 각 기관별 주 평균 몇 건의 영상을 게재하고 있으며, 이들 영상은 기관의 홍보 방향에 얼마나 도움이 되고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앙] 조회수 놀라울 정도의 증가! 그 이유 살펴보니...?

- 2025년 10월 1주 중앙행정기관 유튜브 채널에 게재된 영상 분석 결과, 한 주간 게재된 영상 수는 총 346건으로 지난 주 대비 100건 상승했습니다. 한 주 동안 100건이 증가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상황으로, 이번 주에는 10건 이상 영상을 게재한 기관이 총 11곳에 달한 영향으로 보입니다. 일반영상과 쇼츠영상 모두 영상 수가 증가했으며, 영상을 게재한 기관 수 역시 증가했습니다.
- 영상 수의 증가도 놀랍지만, 이번 주에 가장 놀라운 것은 바로 조회수입니다. 보통 100만~200만 회 사이를 오르락 거리는 총 조회수이지만, 이번 주에는 무려 1천 7백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일반영상과 쇼츠영상에서 모두 8백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조회수가 놀라운 정도로 급증한 가장 큰 이유는 일반영상과 쇼츠영상이 각각 다른 이유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영상의 경우에는 통일부의 캠페인 영상 1건이 수집일 기준 6백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보이며, 이 하나의 영상이 일반영상 전체 조회수를 견인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쇼츠영상은 1백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영상이 2건이지만 그 외에도 다른 영상의 조회수 역시 다른 분석 기간 대비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쇼츠영상의 경우 보건복지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석을 앞두고 민생과 관련된 부처의 주요 활동에 대한 홍보를 목적으로 광고를 집중적으로 집행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더불어 공정거래위원회의 경우 공정거래위원장의 현장 방문 등 동정 영상에 광고를 집중해 높은 조회수를 기록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또 하나 통계청의 경우 인구주택총조사 확산과 참여를 목적으로 제작한 웹드라마가 높은 조회수를 획득했습니다. 다만 이번 주 영상의 경우 상위 10개 영상 중 질병관리청의 숏폼드라마인 질병학개론 영상을 제외하고 다른 분석 기간 대비 높은 조회수를 기록한 것과 달리 댓글 수는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수의 영상이 광고를 통해 조회수를 높게 이끌어 냈으나 댓글 등 적극적 소통을 유도하는 활동은 부족했다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매우 안타까운 일이 분명합니다.
[지방] 큰 변화 없이 조회수 등 소폭 증가

- 2025년 10월 1주 지방자치단체 유튜브 채널에 게재된 영상 분석 결과, 한 주간 게재된 영상 수는 136건으로 지난 주와 동일했습니다. 영상 수는 동일하지만 조회수와 댓글 수는 소폭 상승, 좋아요 수는 오히려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 수는 이벤트 진행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좋아요 수 감소는 쇼츠영상에서 크게 감소한 것을 보아 쇼츠영상이 대중의 관심과 반응을 이끌어 내는 데 다소 부족했다고 불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