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주] 중앙 ㅣ 높은 조회수 성과, 이유가 궁금하다!
11월 2주 기간 동안 중앙행정기관 유튜브에서 게재한 영상은 총 몇 건일까요? 각 기관별 주 평균 몇 건의 영상을 게재하고 있으며, 이들 영상은 기관의 홍보 방향에 얼마나 도움이 되고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종합 분석

- 2025년 11월 2주 중앙행정기관 유튜브 채널에 게재된 영상 분석 결과, 한 주 동안 총 207건의 영상이 게재되었으며, 일반영상과 쇼츠영상이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영상을 게재한 기관의 수 역시 쇼츠영상과 일반영상 모두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었습니다.
- 상세분석의 경우 영상 수와는 사뭇 다른 추이를 보여주었습니다. 조회수는 일반영상과 쇼츠영상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고루 200만 회를 넘는 좋은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최근 영상의 조회수가 300~400만 회를 넘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딱히 특정할 수는 없지만, 4/4분기 들어 정책 홍보에 어느 정도 광고 집행을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짐작됩니다. (이는 각 부처에서 홍보할 정책이 있다고도 볼 수 있고, 막판 성과 달성을 위한 스퍼트일 수도 있는 부분으로, 외부에서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 유사한 수치를 보여준 조회수와 달리 좋아요는 쇼츠영상이 더 많았으며, 댓글은 일반영상이 더 많았습니다. 이를 통해 객관화시킬 수 있는 건, 좋아요를 이끌어 내기에는 쇼츠영상이 유리하며, 댓글의 경우에는 여전히 이벤트 참여에 일반영상이 유리하다는 점입니다. (상세 분석에서 살펴보겠지만, 댓글 상위에는 일반영상의 이벤트 게시물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전체영상 중에서는 해양수산부가 13건으로 가장 많은 영상을 게재했습니다. 이 중에서 쇼츠영상이 8건이나 됐는데, 정책을 짧게 전달하는 1분뉴스 시리즈와 전재수 장관의 동정 영상이 다수 게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뒤를 이어 문화체육관광부가 오래간만에 10건의 영상을 게재해 영상 수 2위를 차지했습니다.

- 일반영상은 문화체육관광부와 농촌진흥청이 7건으로 가장 많은 수를 게재했으며, 쇼츠영상은 해양수산부가 8건을 게재했습니다.
상세 분석
- 조회수

- 11월 2주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영상은 성평등가족부 <🚨 일상의 공포를 끝내는 빠른 출구 📞긴급전화 1366 #스토킹 #교제폭력>영상으로, 수집일 기준 67만 회 이상을 기록했습니다. 해당영상은 애니메이션 기반의 스토리텔리 구성으로 1366 전화를 소개하고 있지만, 정보전달 목적이 강해 관심을 유도하기는 힘듭니다. 그래서인지 좋아요 수와 댓글 수를 봤을 때 집중 광고를 집행해 조회수 성과를 이뤄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 뒤를 이어 중소벤처기업부의 영상도 댓글 수가 하나도 달려있지 않은 것을 보면 광고 집행의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성평등가족부 영상과는 달리 좋아요 수가 높게 나타난 것은 특이한 부분입니다.
- 좋아요

- 가장 많은 좋아요 수를 기록한 영상안 경찰청의 <경찰 무시하고 필사적으로 도망치는 운전자.. 그 이유가?!!😨 #shorts>으로, 수집일 기준 1805개를 기록했습니다. 현장의 긴급한 상황을 보여주는 경찰청의 현장 영상은 자발적인 좋아요를 유도하는 최고의 시리즈입니다. 뒤를 이어 국무총리실에서 게재한 국무총리의 수능 응원 영상의 경우에는 좋아요 수와 조회수는 높은데 댓글 수는 매우 낮은 특이한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 댓글

- 가장 많은 댓글을 기록한 영상은 국세청 <🏆[K-SUUL AWARD] K-술 한잔의 예술, 국세청과 세계로 향하다! - 최종심사 예고편 #술 #수출 #술먹방>으로, 수집일 기준 449개입니다. 해당 영상은 국세청에서 진행하는 국세청 인증 주류를 선정하는 심사영상의 예고편으로, 조회수는 낮지만 좋아요와 댓글 수가 비슷한 수준을 보여, 이벤트 진행의 성과로 보여집니다. 다만, 국세청의 경우 평소 정보전달 목적으로 게재하는 영상을 의례적으로 올리는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어, 앞으로 게재된 본편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