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주] 콘텐츠러리 ㅣ 숏폼 평균 21분 본다? / 인스타그램 신기능 시험 중

숲 via 장재섭
숲 via 장재섭

한 주 동안 '콘텐츠' 키워드로 모은 뉴스를 에디터의 아주 사적인 의견을 덧붙여 공유합니다.


자치단체, ‘숏폼’ 공모전 러시
자치단체, ‘숏폼’ 공모전 러시
자치단체 등 공공기관들의 ‘숏폼’ 공모전이 러시를 이루고 있다. 재생 시간이 짧은 영상 콘텐츠인 숏폼(Short-form)이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이를 홍보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기 위한 전략에서다. 경북도와 경북도경제진흥원은 경북 중소기업 공동 브랜드 ’실…

👉'지자체 숏폼 공모전. 숏폼을 활용한 정책 콘텐츠 제작과 확산이 적합한지 등에 대해서는 이렇다 저렇다 이야기 할 수 없지만, 국민의 입장에서 일반 영상에 비해 쉽게 참여할 수 있어, 이런 공모전은 좋은 방향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자체의 입장에서 그렇다는거지, 중앙행정기관이나 연구기관 등도 그렇다라는 건 아니고...

네이버 클립, 창작자 전용 공간 '클립 프로필' 도입
네이버 클립, 창작자 전용 공간 '클립 프로필' 도입
네이버가 창작자 중심의 콘텐츠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네이버는 ‘클립 프로필’을 신설하고, 창작자 수익화를 위한 광고 인센티브 프

네이버가 릴스와 쇼츠, 틱톡에 대항하기 위해 시작한 클립을 활성화 하기 위한 지속을 꾸준히 하고 있는 중. 기사에서는 크리에이터의 지원 내용을 담고 있는데, 2024년 기준 쇼츠, 릴스, 클립, 틱톡 이용률을 확인해 보면 틱톡이 많이 뒤쳐지고 있으며, 쇼츠의 독주와 인스타그램의 가능성, 클립의 어중간함을 확인할 수 있다.

‘숏폼’ 한번 보면 평균 21분...4명 중 3명 유튜브로 본다
‘숏폼’ 한번 보면 평균 21분...4명 중 3명 유튜브로 본다
[뉴시안= 이태영 기자]소비자는 ‘숏폼’을 한 번 보기 시작하면 평균 21분 동안, 주로 유튜브로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선호하는 콘텐츠 형태는 ‘30분~1시간 길이’의 ‘풀버전 동영상’이었지만 10대는 숏폼을 더 선호했고 20·30대의 선호도 차이는 크지 않아 영상 소비 행태의 대전환이 진행되고 있다.14일 이동통신 전문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14세 이상 휴대폰 사용자 3151명에게 숏폼 콘텐츠 이용 경험을 묻고 그동안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숏폼은 1~3분 내외의 짧은 영상으로, 2020년 이후 주력 영상 포맷으로

조사대상자의 60% 이상이 하루에 1시간 이상 숏폼 콘텐츠 소비하며, 이들이 주요 관심사는 유머/일상. 즉, 숏폼이 단순히 시간을 보내는데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의미. 즉(2), 숏폼에 의미를 부여할 필요, 정보를 과하게 담을 필요가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숏폼에 노력, 시간을 쏟지 말자.

취향대로 모인다…인스타그램, 공통 관심사 이어주는 기능 '픽스' 개발
취향대로 모인다…인스타그램, 공통 관심사 이어주는 기능 ‘픽스’ 개발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인스타그램이 친구와 공통 관심사를 찾도록 돕는 ‘픽스’(Picks) 기능을 개발 중이다.13일(현지시간) IT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리버스 엔지니어 알레산드로 팔루치(Alessandro Paluzzi)가 포착한 이 기능은 사용자가 좋아하는 영화, 책, TV 프로그램, 게임, 음악을 선택(Pick)하면, 인스타그램이 친구 중 같은 취향을 가진 사람을 찾아주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인스타그램 측은 해당 기능에 대한 공식적인 세부 사항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친구들과 보다 개인적인 연결을 형

관심사 중심으로 이용자들이 모이고, 활성화를 유도하려는 것일까? 대중성을 기반으로 성장한 소셜미디어가 이제는 그 폭을 계속 좁히려고 하고 있다.

수협은행, 직원 유튜버 'Sh크리에이터'로 지역경제 활성화 앞장
수협은행, 직원 유튜버 ‘Sh크리에이터’로 지역경제 활성화 앞장 - 중앙이코노미뉴스
[중앙이코노미뉴스 정재혁] Sh수협은행은 직원 유튜버이자 홍보모델인 ‘Sh크리에이터’를 통해 침체된 지역 재래시장과 골목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나아가 지역경제 활

최근 이슈가 되고 있기도 해서 기사에 관심이 갈 수 밖에 없었다. 직원을 활용한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고 한다. 그래서 채널에 들어가봤다.

해당 영상을 포함에 그 전에 게재한 영상의 경우 조회수가 꽤 높다. 1만 회 이상은 기본이고 30만 40만 회 영상도 적지 않다. 수협은행의 구독자는 2.5만명인데, 이 정도 조회수가 나오는 건 꽤 좋은 성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상하다. 최근 사회적으로 논란의 중심이 된 이후에는 관리(?)가 되고 있지 않은지 조회수가 처참하다. 100회~200회 정도로 기존 영상과 너무나 차이가 난다.

기사에서는 직원 참여 영상의 조회수가 너무 잘 나왔다 라고 했지만, 결국 광고를 통한 확산이 상당히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광고로 조회수를 높인거라면 이렇게 홍보는 하지 말자. 수치 경쟁만 부추길 뿐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

그냥 우리 채널은 조회수가 잘 안나오는 채널이라는 걸 인정하고, 신뢰도부터 구축하.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